SMALL

알쓸신잡 208

백사겸의 뉘우침

(종교를떠나읽어보시기를바랍니다) 옛날 평안도 정주에 시각 장애인이며 박수 무당인 백사겸이란 분이 있었습니다. 그는 굿을 잘해 첩을 둔 무당 이었습니다. 하루는 굿을 하는데 선교사가 구경을 하고 있었습니다. 무당은 아무리 용을 써도 神이 안 내려 땀을 뻘뻘 흘렸습니다. 그런데 선교사는 "자식을 망하게하는 무당 짓을 그만하고 예수 믿고 천당 가세요" 라고 말 하였습니다. 선교사가 가고 나니 神이 내려 겨우 굿을 마쳤습니다. 그는 귀신보다 더 큰 神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충격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자식을 망하게 하지 않으려고 다음날 선교사를 찾아가서 어떻게 하면 자식이 잘 될 수 있느냐고 물었습니다. 선교사는 "예수를 믿으면 자식이 잘 되고 복을 받는다"고 하였습니다. 그는 무당 일을 청산하고,온 가족이 하나..

알쓸신잡/잡학 2023.07.12

타이타닉(Titanic), 1997

'타이타닉(Titanic)'은 1997년에 개봉한 제임스 카메론 감독의 영화입니다. 이 영화는 역사적인 타이타닉 호 침몰 사건을 바탕으로 한 두 사람의 사랑 이야기를 그리고 있습니다. 영화는 아름다운 영상미, 감동적인 음악, 뛰어난 배우들의 연기 등 다양한 요소로 전 세계적인 관객들에게 인기를 얻었습니다. 영화의 주역인 잭 더슨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분)과 로즈 드위트 부케이터 (케이트 윈슬릿 분)는 각기 다른 사회계급의 배경을 가진 사람들입니다. 타이타닉 호에서 우연히 만나 사랑에 빠지게 되지만, 실제로 일어난 역사적인 참극으로 인해 절망적인 순간을 맞이합니다. 타이타닉 호가 침몰하는 과정에서 두 주인공의 사랑 이야기와 각각의 인물들의 운명이 치열하게 전개됩니다. 영화는 사회적인 차별, 용기, 운명,..

알쓸신잡/영화 2023.07.11

쉬는 법(法)

휴식(休息)은 休(쉴휴)는 사람(人) 이 나무(木)에 몸을 기대어 쉬는 것을 말하고, 息(쉴 식)은 자(自)신의 마음(心)을 아래로 내려놓는 걱정과 불안 등 온갖 잡념을 가라앉히고, 그저 편히 쉬는 것을 의미합니다. 휴식(休息)은 게으름도, 멈춤도 아닙니다. 한 농촌 마을에서 두 농부가 논에서 열심히 벼를 베고 있었는데 ​한 사람은 허리를 펴는 법 없이 계속해 서 열심히 벼를 베었고, 다른 한 사람은 중간 중간 논두렁에 앉아 쉬었다고 합니다. 거기에다 노래까지 흥얼거리면서... 저녁이 다 되어 두 사람은 허리를 펴고 자기가 베어 놓은 볏단을 뒤돌아 보았더니, ​틈틈이 논두렁에 앉아 쉬던 농부가 베어놓은 볏단이 더 많더란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쉬지 않고 이를 악물고 열심히 일만 한 농부가 따지듯 물었습니..

알쓸신잡/잡학 2023.07.11

쉰들러 리스트(Schindler's List), 1993

'쉰들러 리스트(Schindler's List)'는 1993년에 개봉한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영화입니다. 이 영화는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되어, 홀로코스트 기간 동안 약 1,100명의 유대인 인부들을 독일의 나치 강제 수용소에서 구해낸 독일 정부 관계자, 오스카 쉰들러의 이야기를 다룹니다. '쉰들러 리스트'는 전반적으로 감동적이고 충격적인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이 영화로 인해 전 세계인들에게 생존의 의지와 인간이 가진 선과 악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영화에 대한 평가] 영화 '쉰들러 리스트(Schindler's List)'는 전문 평론가들과 관객들 모두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이 영화는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섬세한 연출, 뛰어난 연기력을 보여주는 배우들, 탁월한 영상미 그리고 감..

알쓸신잡/영화 2023.07.10

삶에 귀감이 되는 20가지

1) 윤택한 자 버는대로 마구 쓰는 자는 마음이 가난한 자요,벌어도 쓸 줄 모르는 자는 머리가 어리석은 자요, 적당히 필요한 만큼 아껴 쓰는 자만이 삶이 윤택한 자이다. 2) 죽 음 우리가 죽음이라고 말하는 것은 삶의 끝이 아니다. 단지 우리가 죽음 뒤의 세상을 가보지 못했을 따름이다. 3) 나 쁜 일 많이 벌어서 많이 쓰는 것은 나쁜 일이 아니다. 진정으로 나쁜 것은 조금 버는 사람이 많이 쓰는 것이다. 자신의 분수를 지키지 않는 일보다 나쁜 일은 없다. 4) 기도의 힘 주먹의 힘보다 기도의 힘이 더 강하다. 주먹의 힘은 모든 것을 파괴하는데 불과하지만 기도의 힘은 모든 불가능한 것을 이루어지게 한다. 5) 배 움 배움을 게을리 하는 것은 자신의 능력을 무시하는 행위이다. 조물주가 주신 잠재력을 개발하..

알쓸신잡/잡학 2023.07.10

비염(鼻炎, Rhinitis)의 이해와 개선방법

비염이란 코 점막의 염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증상으로는 콧물, 코막힘, 재채기, 코 가려움 등이 있으며, 알레르기성 비염과 비알레르기성 비염 두 가지로 나뉩니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환경적 요인, 계절,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에 노출되면 나타나는 비염이며, 비알레르기성 비염은 알레르기 외의 다른 원인으로 인해 나타나는 비염입니다. 치료법은 원인과 증상에 따라 약물 치료, 행동 요법, 물리 치료 등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만약 비염 자주 발생한다면 전문적인 의료기관에서 진단과 정확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원인] 비염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각각의 비염 종류에 따른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알레르겐)에 대한 반응 대표적인 알레르겐:..

알쓸신잡/건강 2023.07.09

쇼생크 탈출 (The Shawshank Redemption), 1994

'쇼생크 탈출'은 1994년에 개봉한 미국의 드라마 영화입니다. 프랭크 다라 본트 감독이 이끄는 이 영화는 스티븐 킹의 단편소설 '리타 헤이워스와 쇼생크 교도소의 화신'을 원작으로 하고 있습니다. 영화는 절망적인 삶 속에서도 희망을 찾아가는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주요 배우로는 팀 로빈스와 모건 프리먼이 출연하며, 아이디어와 우정, 용기를 바탕으로 교도소라는 어두운 공간에서 생존하고 결국 탈출을 꿈꾸는 캐릭터들의 이야기를 다룹니다. 쇼생크 탈출은 전반적으로 스토리와 연기력이 뛰어난 영화로 평가되고 있으며,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는 작품입니다. [영화에 대한 평가] 영화 '쇼생크 탈출'은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작품입니다.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훌륭한 각본과 연출: 스티..

알쓸신잡/영화 2023.07.09

노안( presbyopia, 老眼)의 이해와 개선방법

노안(老眼)이란, 나이가 들면서 눈의 수정체가 단단해지고 유연성이 떨어져서 원인되는 시력 문제입니다. 노안은 40세를 넘어서면 자연스럽게 발생할 수 있는데, 보통 가까운 것을 보는 활동이 불편해지거나 글자를 읽는 것이 어려워집니다. 노안은 노화의 결과로 발생하며, 안경이나 돋보기를 사용하여 개선할 수 있습니다. 노안이 발생한 경우에는 눈 건강에 유의하고 정기적인 안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원인] 노안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수정체의 노화: 나이가 들면서 눈의 수정체가 단단해지고, 탄력성이 떨어져서 굴절력(물체를 명확하게 보게 해주는 능력)이 약해집니다. 이로 인해 가까운 것을 명확하게 볼 수 없게 됩니다. 눈 근육의 약화: 나이가 들면서 눈 주변의 근육이 약해지고 힘을 잃어, 가까운 것을 대..

알쓸신잡/건강 2023.07.08

죽은 시인의 사회 (Dead Poets Society), 1989

'죽은 시인의 사회'(Dead Poets Society)는 1989년에 개봉한 미국의 드라마 영화입니다. 피터 웨어(Peter Weir) 감독이 연출하고 톰 스쿨릿(Tom Schulman)이 각본을 썼습니다. 영화는 1950년대 보수적인 미국 사립학교에서 일어나는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로빈 윌리엄스(Robin Williams)가 비교문학 교사 존 키팅 선생님 역할을 맡았으며, 그의 독창적이고 열정적인 교육 방식으로 학생들의 사고력과 창의성을 자극하는 영향을 받게 됩니다. 영화는 시, 문학, 그리고 인생에 대한 교훈을 전달하며 관객들에게 여전히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작품입니다. [영화에 대한 평가]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는 전반적으로 극찬을 받았으며 많은 사람들에게 영구적인 영향을 미친 작품으로..

알쓸신잡/영화 2023.07.08

삼복(三伏)의 유래, 복날, 초복, 중복, 말복

[삼복의 유래] 삼복(三伏)의 유래는 고려시대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삼복은 한자로 '삼개(三)'와 '복(伏)'이 조합된 말입니다. 뜻은 여름철 가장 덥고 습한 날씨로 인해 사람들이 체력이 지치기 쉬운 3개의 기간을 나타냅니다. 이 기간 동안 사람들은 체력을 회복하고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특별한 음식과 보양식을 섭취하곤 했습니다. 음력 기준으로 삼복은 초복, 중복, 그리고 말복으로 구분되며, 한 해의 절기 중 소서(小暑), 대서(大暑), 입추(立秋) 사이에 이어집니다. 초복은 소서 이후 첫 번째 복, 중복은 대서를 포함한 두 번째 복, 말복은 입추 전 마지막 복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이 시기에는 더위와 습도가 높아 축산업이나 농사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그래서 사람들이 이 기간 동안 건강과 에..

알쓸신잡/잡학 2023.07.07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