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복의 유래]
삼복(三伏)의 유래는 고려시대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삼복은 한자로 '삼개(三)'와 '복(伏)'이 조합된 말입니다. 뜻은 여름철 가장 덥고 습한 날씨로 인해 사람들이 체력이 지치기 쉬운 3개의 기간을 나타냅니다. 이 기간 동안 사람들은 체력을 회복하고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특별한 음식과 보양식을 섭취하곤 했습니다. 음력 기준으로 삼복은 초복, 중복, 그리고 말복으로 구분되며, 한 해의 절기 중 소서(小暑), 대서(大暑), 입추(立秋) 사이에 이어집니다. 초복은 소서 이후 첫 번째 복, 중복은 대서를 포함한 두 번째 복, 말복은 입추 전 마지막 복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이 시기에는 더위와 습도가 높아 축산업이나 농사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그래서 사람들이 이 기간 동안 건강과 에너지를 유지하기 위해 특별한 음식을 섭취하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삼복 때 섭취하는 음식으로는 주로 삼계탕(삼계당(參鷄湯))이 있습니다. 삼계탕은 영양분이 풍부한 오리고기와 생명력 있는 참나무씨를 함께 삶아 만드는 음식으로, 여름철에 체력을 키우고 에너지를 보충하기 위한 면역력 강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처럼 한국 문화에서 삼복은 폭염기간을 대비하는 밸런스 잡힌 식습관 및 건강관리 방법으로 여겨집니다.
[삼복이란]
삼복은 한국의 전통적인 천지관념에서 중요한 날짜로 여겨지는 세 번의 '복'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복'은 길이 5일인 단위로, 여름의 무더운 기간 동안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첫 번째로는 "초복(初伏)"이라고 불리는데, 일반적으로 음력 6월 30일부터 7월 4일까지의 5일 동안에 해당합니다. 이 기간은 장마가 끝나고 날씨가 무더워지기 시작하는 시기로 알려져 있습니다.
두 번째는 "중복(中伏)"이라고 불리며, 보통 음력 7월 10일부터 7월 14일까지의 5일 동안에 해당합니다. 이 때는 여름 한창에 기온과 습도가 높아지는 시기로, 가장 무더운 시기 중 하나입니다. "삼복더위"라고도 불리는데, 앞서 답변드린 내용과 같이 삼복더위는 한국에서 날씨 현상을 통칭하는 말로, 특히 중복에 해당하는 기간을 가리킵니다.
마지막으로는 "말복(末伏)"이라고 불리며, 일반적으로 음력 7월 20일부터 7월 24일까지의 5일 동안에 해당합니다. 말복은 여름이 저물어가고 가을이 다가오는 시기를 나타내며, 이전의 무더운 기간들과는 달리 조금은 날씨가 서늘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삼복은 한국에서 과거부터 관찰되고 전해져 온 전통적인 천지관념이며, 이 세 번의 복 기간 동안은 특히 무더운 여름 기간에 대한 인식과 대비가 강조되었습니다. 사람들은 이러한 천지관념을 바탕으로 건강 관리와 농사일정, 휴가 계획 등을 수립하곤 했습니다. 하지만 현대에는 이러한 전통적인 천지관념이 주로 역사적인 의미를 갖고 있으며, 일상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삼복에 좋은 음식들
[삼계탕]
[전복]
[장어]
[민어]
'알쓸신잡 > 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쉬는 법(法) (66) | 2023.07.11 |
---|---|
삶에 귀감이 되는 20가지 (61) | 2023.07.10 |
서로 다른 인생 길 (29) | 2023.07.07 |
수면(睡眠) (42) | 2023.07.06 |
물레방아 인생 (70) | 2023.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