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전체 글 382

[배양기록 2023.06.03] 바위솔 석부작

제주화산석에 바위솔을 붙여서 만든 석부작 입니다 바위솔 종류가 많지만 석부작을 만들기 위해서는 좀바위솔을 사용 합니다 화산석에 생명토를 얇게 바르고 군데군데 바위솔을 붙여 놓으면 스스로 자라서 화산석 전체를 덥어 버립니다 시간이 걸리긴 하죠^^ 인위적으로 붙이는 것보다 시간을 두고 자연스럽게 자라게 하는것이 더 이쁜것 같아요 확대모습 [바위솔] 바위솔(Stonecrop)은 주로 돌이나 암석 위에서 자라는 다년생 식물로서, 세계적으로 약 600여 종의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바위솔은 주로 산암, 화강암, 석회암 등 다양한 암석 표면에서 자라는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바위솔은 매우 견고하고 내구성이 높은 식물로서, 건조한 환경에서도 잘 적응하며 거의 유지보수 없이 자라날 수 있습니다..

분재/소장목 2023.06.03

무늬치자 분경 만들기

무늬치자 분경입니다. 작은 정원같이 구성을 해야 하기 때문에 부가적인 재료와 과정이 필요 합니다. 분목을 화분에 고정하고 이끼,돌, 석창포 등을 이용해서 작은 정원을 구성하면 됩니다. [분경이란] 분경은 작은 나무나 식물을 작고 아름답게 가꾸기 위해 사용되는 재래식 정원 예술입니다. 이 예술은 일본에서 발전되었으며, "분경"이라는 용어는 일본어에서 "판"을 의미하는 "분"과 "경치"를 의미하는 "경"을 합쳐 만들어진 말입니다. 분경은 작은 용기에 식물이나 나무를 심고, 이를 주변 환경과 어우러지도록 꾸미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분경은 일반적으로 특정 주제나 자연의 풍경을 표현하기 위해 디자인됩니다. 작은 나무와 식물, 작은 돌, 조각, 물고기 등 다양한 소품들로 구성되며, 이들을 배치하여 작은 정원을 만..

[배양기록 2023.06.02] 매화나무

분재수로 인가가 많은 수종 중 하나가 매화나무 입니다. 추운 겨울에 꽃을 피우는 매화는 겨울의 정점에 있는 나무 입니다 분재를 하는 분재인 이라면 하나 정도는 꼭 소장 하고 있는 분목 입니다. 매화는 꽃과 향기도 좋지만 사리에 의한 고태미가 좋은 수종 입니다. 그래서 인위적으로 사리를 만들기도 합니다. 아래 분목은 2번에 거친 사리을 한 매화분재 입니다. 아직 개화를 하지 않아서 어떤꽃이 개화 할지 기대가 큽니다. 물값 못하는 매화 나무 입니다. [2차 사리 작업] -> 현재 모습 1차 작어보다 더 많은 부분이 사리처리를 했습니다 오래된 고목 같은가요^^ [1차 사리 작업] [매화꽃 특징 및 문화] 매화나무는 매화과 식물인 매화속의 나무입니다. 매화는 일본의 국화로 알려져 있으며, 아름다운 꽃을 피워주는..

분재/소장목 2023.06.02

6월의 분재 관리

수목의 성장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시기이므로 관수와 거름 시비를 게을리하지 않는다.분의 방향을 바꿔주며 햇빛을 고루 받게 하고 병충해의 발생 여부를 수시로 점검한다. [물관리] 용토의 건조가 빠른 계절이므로 충분한 양의 물을 주고 오후에는 엽수를 하여 공중 습도를 높여준다. 장마철에도 관수를 게을리하지않고 용토의 건조 상태를 꼼꼼히 체크하도록 한다. [시비] 장마전까지 충분한 거름을 시비하되 과실수는 착과 상태를 확인하여 약하게 시작한다. 분갈이를 한 나무는 약 한달 후에, 잎따기를 한 나무는 새순이 나온 후에 시비하도록 한다. [분갈이] 봄에 나온 신엽들이 광합성 및 증산 작용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시기이므로 이 시기에 뿌리를 자르면 TR률이 맞지않아 자칫 위험해질수 있다. 분갈이 적기를 놓쳐 배수가 좋지..

승전분 - 미니 승전분

분재 야생화에 잘 어울리는 미니 승전분 들 입니다. 다양한 모양의 미니 승전분 들을 위해서 사양한 식물을 심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다양한 모양의 승전분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미니 달분 : https://smartstore.naver.com/hanspring/products/8497522009 미니 원형분(1) : https://smartstore.naver.com/hanspring/products/8482856696 미니 원형분(2) : https://smartstore.naver.com/hanspring/products/8482815114 미니 직사각형분(1) : https://smartstore.naver.com/hanspring/products/8584181543 미니 직사각형분(2) : http..

화분/국산화분 2023.06.01

영명분 - 원형삼발이분

일본에서 20년전 제작된 영면분 입니다. 수작업으로 제작된 자사분으로 송백류 분재와 잘 조화를 이룹니다. 분재에 있어서 화분의 아주 중요한 부분이며 일반적인 화분의 역할과는 많이 다른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나무를 심는 공간 일 수 있지만 분재와 조화가 잘되면 수격을 높이는 요소가 됩니다. 분재는 일반적으로 분목의 격 과 화분의 가치가 포함되어서 가격대가 형성이 됩니다. 분재에서 나무는 죽어서 화분을 남긴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만큼 중요한 요소이기도 합니다. 정면 상면 하면(화분 바닥 및 낙관) 화분에 소나무(곰솔)을 심은 모습 일반적인 화분의 역활 화분은 식물을 키우기 위해 사용되는 용기로, 분재는 화분을 안정적으로 지탱하고 식물의 뿌리가 생장할 공간을 제공합니다. 분재는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

화분/일본화분 2023.06.01

[배양기록 2023.06.01] 꼬리팽(폭나무)

팽나무의 사촌격인 폭나무 입니다 폭나무에서 변이가 발생한 꼬리팽 입니다 잎의 모야이 제비꼬리처럼 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입니다 정식 명칭은 아니지만 분재수로는 희귀성이 있습니다꼬리팽 과 폭나무 잎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꼬리팽 잎폭나무 잎 폭나무의 특징 Celtis biondii는 상록나무과에 속하는 낙엽나무 종류 중 하나입니다. 이 종은 주로 동아시아 지역에 자생하며, 중국, 대한민국 및 일본에서 발견됩니다. Celtis biondii는 특별한 별명이 없으며, 주로 일반적으로 "Celtis biondii" 또는 "Chinese hackberry"라고 불립니다. Celtis biondii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크기: Celtis biondii는 중간 크기의 나무로, 성장에 따라 높이가 10~20..

분재/소장목 2023.06.01

[배양기록 2023.06.01] 배내골산 소형 비비추

배내골 자생종이고 중투무늬가 주지만, 호무늬, 소입반무늬등이 조금씩 나오며 관상가치가 뛰어납니다. 한몸에서 여러 무늬를 감상 할수 있습니다 소형종 중에는 명품이라고 불릴 정도의 가치와 감상가치가 뛰어납니다 무늬가 변화화는 모습을 지켜 보는 재미가 있습니다 현재모습 3월 새싹 나올때 작년모습 작년 개화시

식물/야생화 2023.06.01

[배양기록2023.05.31] 백일홍(배롱나무)

소품 백일홍 분재 입니다 잘 발달된 근장과 주간의 흐름이 이쁜 소품 분재 입니다 배롱나무는 추위에 약하고 가지가 잘 말리서 분재수로 흔하지 않은 수종 입니다 배롱나무 또는 백일홍이라고 불리는 나무 입니다 이름 답게 오랜시간 백일동안 꽃을 피움니다 분재의 겻우 잠깐 꽃을 보고 꽃 정리를 합니다 일반적으로 봄 또는 가을에 꽃을 볼수 있는데 배롱나무는 여름에 개화를 합니다 특징 수고 5~6m 정도로 구불구불 굽어지며 자란다. 수피는 옅은 갈색으로 매끄러우며 얇게 벗겨지면서 흰색의 무늬가 생긴다. 타원형의 잎은 마주나고 둔두 또는 예두이고 원저이다. 표면에 광채를 띄며 털이 없고 뒷면 맥 위에 털이 듬성듬성 난다.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잎자루는 거의 없다. 가지 끝에 달리는 원추화서의 꽃은 홍자색으로 피고 우리나..

분재/소장목 2023.05.31

[배양기록 2023.05.30] 흑산비비추 흑산일품

올봄과 비교해보니 많이 자랐네요 흑산비비추 소형종중 최고의 무늬가 나오는 귀한품종 입니다특징:이종은 단엽성 중투호로써 잎의 변이가 나타나는 아주 희귀한 형태가 나타난다. 일반적인 흑산비비추는 중형종에 들어가는 종으로 잎의크기는 집에서 배양했을때 가로 7-12cm 세로 20-30cm 정도 자란다 물론 영양상태가 좋은 자생지에서는 더 크게 자란다고 본다. 그러나 본종은 가로2-3cm.세로 7-10cm정도 자란다. 잎은 단엽종처럼 후육질이며.잎가로 거친 波狀을 이루고 뒤틀리며 기부에서부터 거치가 나타난다. 잎이 뒤틀린다는것은 잎의 안쪽과 바같쪽의 세포조직의 두께가 다르기 때문에 세포가 평창하면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보여진다. 자세히 관찰해 보면은 잎 안쪽보다 파상을 이루는 잎 바같쪽이 훨씬 더 두툼 하다는것을 ..

식물/야생화 2023.05.3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