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쓸신잡/잡학

탁주 한잔

푸름^^ 2023. 9. 6. 07:49
SMALL



“죽은 후 천추만세까지 이름이 전해지는 것 보다는 살아생전에 탁주 한잔만 못하다”(死後千秋萬歲之名 不如生時濁酒一杯)는 말이 있다.

사후의 세계보다
살아생전이 더 소중하다는 뜻이다.

고려의 대문호 이규보(李奎報)가 아들과 조카에게 준 시(示子姪)를 보면 노인의 애틋한 소망이 그려져 있다.

죽은 후 자손들이 철따라 무덤을 찾아와 절을 한들
죽은 자에게 그것이 무슨 소용이 있으며,세월이 흘러 백여 년이 지나 가묘(家廟, 祠堂)에서도 멀어지면 어느 후손이 찾아와 성묘하고 돌볼 것이냐고 반문했다.

찾아오는 후손 하나 없고 무덤이 황폐화되어 초목이 무성하니 산 짐승들의 놀이터가 되어 곰이 와서 울고 무덤 뒤에는 외뿔소가 울부짖고 있을 것이 자명하다고 했다.

산에는 고금의 무덤들이 다닥다닥 붙어 있지만 넋이 있는 지 없는 지 누구도 알 수 없다고 탄식하여 사후세계를 연연하지 않았다.

이어서 자식들에게 바라는 소망을 다음과 같이 그렸다.

“조용히 앉아서 혼자 생각해 보니(靜坐自思量) 살아생전 한 잔 술로 목을 축이는 것만 못하네(不若生前一杯濡)

내가 아들과 조카들에게 말하노니(我口爲向子姪噵)이 늙은이가 너희를 괴롭힐 날 얼마나 되겠는가
(吾老何嘗溷汝久)

꼭 고기 안주 놓으려 말고(不必繫鮮爲) 술상이나 부지런히 차려다 주렴(但可勤置酒)”

조용히 생각해 보니 사후의 일보다 살아 있을 때의  삶이 더욱 소중함을 깨닫고 자손들에게 한잔 술로 목이나 축이게 부지런히 술상을 차려주는 것이 효도라고 했다.

자신은 이제 서산에 지는 태양과 같은 신세인지라 자손들을 괴롭힐 날이 얼마나 되겠느냐면서, 힘들게 고기 안주 장만하려 하지 말고 나물 안주와 탁주라도 좋으니 날마다 술상을 차려 달라고 쓸쓸하게 속마음을 털어놓았다.

만년의 이규보가 간절하게 바란 것은 쌀밥에 고기반찬의 진수성찬도 아니요 부귀공명도 아니며 불로장생도 아니다.

다만 자식들이
“살아생전에 목이나 축이게 술상이나 부지런히 차려다 주는것뿐이었다.

이 얼마나 소박한 노인의 꿈인가?
비록 탁주일망정 떨어지지 않고 항시 마시고 싶다는 소망이 눈물겹다.

이 시가 우리의 가슴을 아리게 하는 것은 노인들의 한과 서러움이 진하게 묻어 있고 꾸밈없는 소망이 그려져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비원(悲願)은 시인만의 것이 아니다.

이 땅에 사는 모든 노인들의 소망이기도 하다.

아! 요즘 세상에 어느 자식이 이 소망을 들어 줄 것인가?

사후의 효보다 생시의 효가 진정한 효이다.
 

LIST

'알쓸신잡 > 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줄 알았는데 나쁜 습관들  (38) 2023.09.09
人生의 향기  (44) 2023.09.08
나는 왜 소통이 어려운가?  (40) 2023.09.05
성공을 넘는 승리  (42) 2023.09.04
좁은 길  (42) 2023.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