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쓸신잡/잡학

고집이 센 성(姓)씨들

푸름^^ 2023. 7. 4. 08:18
SMALL

대부분 안(安), 강(姜), 최(崔)를 언급하곤 한다.
거기에 황소고집 황(黃)씨도 있지요.

그들은 정말 고집이 셌을까?
혹은 그들 중에 누가 더 고집이 셀까?

들려오는 얘기로는 살아 있는
김(金)씨 3명이 죽은 최(崔)씨 1명을
못이기고,

최(崔)씨 셋이 모여도 강(姜)씨 1명을
못 당하며,

강(姜)씨 셋이 모여도
안(安)씨 앉은 자리를 못 넘본다는
얘기도 있다고 하는데 고집의 유래를 알아봅니다.


1.첫째, 
안(安)씨가 고집이 세다는 이야기는
조선 태종 때 단종을 끝까지 추종하다
학살되고 최고의 명문가에서 천민으로 전락되었던 순흥 안(安)씨 집안의 멸문지화에서 유래 되었다고 한다.

그로 인해 조선시대에는 정치적으로 낙인이 찍혀버려 크게 활약한 인물이 별로 없지만,
안중근의사를 포함해 독립운동을 하신 분 중에 안씨의 비율이 상당히 높다고 한다.

잘못된 것을 잡으려는 안씨의 고집에
독립운동에서도 발현된 것이리라.


2.둘째, 
강(姜)씨가 고집이 세다는 유래는 고려 말 충신 강회중에게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그는 고려의 유신으로 조선을 개국한 태조가 여러 차례 벼슬을 권하였으나 끝내 물리치고 고려에 대한 의리를 지킨 것에서
그의 마음과 기개가 사람들에게 강씨 고집 이라는 이름으로 남게 되었다고 한다.


3.셋째, 
최(崔)씨 고집은 고려 말의 충신 최영장군 에서 유래했다는 것이 정설이다.
최영 장군은 조선 건국에 반대하다 죽어 가면서,
"내가 역적이었다면 내 무덤에 풀이 무성 하겠지만, 그렇지 않고 내가 옳다면 나의 무덤에는 풀이 나지 않을 것이다."

라고 말했다고 하는데 실제로 그의 무덤 에는 풀이 자라지 않아 후일 지독한 사람을 빗대 놓고 하는 말로 '최씨가 앉은 자리에는 풀도 나지 않는다'는 말이 회자되었던 것 같다. 

이들 ‘안(安), 강(姜), 최(崔)’와
고집에서 밀리지 않는 성이 또 있다.

행불유경


4.바로 황소 고집이라고 알려진 황(黃)씨 고집이다.
얼마나 대단하길래 그리 불리는지 황(黃)씨 고집의 내력을 살펴보자.

조선 영조 때 집암 황순승(執庵 黃順承 165 2 -1718)선생으로 인해 황고집이라는 말이 생겼다고 한다. 

첫번째 이야기,
어느 날 마을 앞 개울에 다리를 세웠는데
다리 위를 덮은 흙에 하얀 석회가루가 섞어져 있어 인부를 불러 어디 흙이냐고 물었더니 인부가 말하기를,

“오래된 무덤 부근에서 흙을 가져왔다”
고 하자,
남의 무덤의 흙을 밟고 다니는 것은 예(禮) 에 어긋난다는 이유로 평생 다리 위로 다니지 않았다고 한다. 

두번째 이야기,
어느 날 그가 한양에 다니러 갔다가 평양으로 되돌아 가려던 순간에 우연히 친구를 만나 다른 친구의 부음을 듣게 되었다.

그런데 그는 다른 목적으로 이곳에 왔는데 지금 의관(衣冠) 그대로 바로 조문(弔問)을 가는 것은 ‘죽은 벗에 대한 예가 아니다’라며
1주일이나 걸리는 평양으로 가서 의복만 다시 정제한 후 조문을 갔다고 한다.

세번째 이야기,
집에서 가장 가까운 좋은 논을 조상 제사에 쓸 쌀을 생산하는 용도로만 정해 놓고 그 논에는 절대 퇴비를 쓰지 않고 쌀뜨물로만 거름을 주며 정결하게 농사를 지었는데 어느 날 보니 하인이 그 논에서 방귀를 뀌는 것을 보고 그 논에 물을 빼고 새물을 대기를 3년을 하고서야 새로 농사를 지어 제사를 모셨다고 한다.

네번째 이야기,
어느 날은 당숙과 함께 성묘를 갔는데
그가 묘가 있는 산까지 얼추 20리(8km)쯤 떨어진 곳에 이르자 말에서 내려 걸어가길래 당숙이,

“왜 그러느냐?”고 묻자
“조상의 묘가 있는 산이 보이는데
어찌 말을 타고 가겠습니까.”
하였다고 한다.

어떻습니까?
이 정도면 황씨 고집이라고 불릴만 한지요?

고집이란 억지를 부리는 ‘무데뽀’가 아니다. 

남들이 다 가더라도 바르지 않은 길을
가지 않으며,
예에 어긋나지 않게 산 그를 
진정한 고집의 대가로 인정한다.

오늘도 밝은 미소로 행복을 나누는 좋은날 되세요.

LIST

'알쓸신잡 > 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면(睡眠)  (42) 2023.07.06
물레방아 인생  (70) 2023.07.05
삶의방식(20년의 봉급과 맞바꾼 세가지 삶의 지혜)  (31) 2023.07.03
백두산 천지  (97) 2023.07.02
복(福)은 나눔 이다  (90) 2023.07.01